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리눅스와 우분투란?

1. 리눅스와 유닉스

 

유닉스는 대부분의 현대적 컴퓨터 os의 원형인 운영체제이다.

  만들어진 시기 간단한 설명
유닉스 1960년대 후반 컴퓨터 운영체제의 한 종류.
MacOS가 UNIX 기반의 운영체제이다.
매우 비싼 비용을 지불해야지 사용 가능
리눅스 1991년 쉽게 말하자면, '무료 유닉스'.
리누스 토르발스 등이 개발했다.
우분투 2004년 리눅스 배포판 중 하나

처음에는 어쎔블리어를 기반으로한 유닉스가 있었고 리누스 선생님이 그것을 개선하여 리눅스를 만들었다

 

이후 수많은 리눅스 변종들이 생겨났고 보통 리눅스 커널을 사용하는 것을 리눅스라고 부른다

 

2. 커널과 셸

 

커널 (kernel)

리누스 토르발스는 리눅스의 커널(Kernel)을 개발했다 컴퓨터 운영체계의 가장 중요한 핵심으로써 운영체계의 다른 모든 부분에 여러 가지 기본적인 서비스를 제공한다. 커널은 셸(shell)과 대비될 수 있는데, 셸은 운영체계의 가장 바깥부분에 위치하고 있으면서, 사용자 명령어에 대한 처리를 담당한다.

 

일반적으로 커널에는 종료된 입출력연산 등 커널의 서비스를 경쟁적으로 요구하는 모든 요청들을 처리하는 인터럽트 처리기와 어떤 프로그램들이 어떤 순서로 커널의 처리시간을 공유할 것인지를 결정하는 스케줄러, 그리고 스케줄이 끝나면 실제로 각 프로세스들에게 컴퓨터의 사용권을 부여하는 수퍼바이저(supervisor) 등이 포함되어 있다.

 

또한 커널은 메모리나 저장장치 내에서 운영체계의 주소공간을 관리하고, 이들을 모든 주변장치들과 커널의 서비스들을 사용하는 다른 사용자들에게 고루 나누어주는 메모리관리자를 가지고 있다. 커널의 서비스는 운영체계의 다른 부분이나, 흔히 시스템 호출이라고 알려진 일련의 프로그램 인터페이스들을 통해 요청된다.

 

리눅스 커널은 현재도 계속 업그레이드 중이며, 리눅스 커널 아카이브(http://www.kernel.org)에서 최신 버전을 다운받을 수 있다.

 

 

셸 (shell)

 

간단하게 커서 깜빡이는 곳으로 이해하면 된다.

UNIX시스템과 이용자 사이의 인터페이스를 취하는 커맨드 애널라이저를 셸이라 한다. 이용자는 셸을 통해서 UNIX하에서 움직이는 여러 가지 도구를 파이프라인 등으로 조합시켜 소프트웨어 개발을 효율적으로 진행시킬 수 있다.

 

이용자가 입력한 문장을 읽어 그 문장이 요청하는 시스템 기능을 수행하도록 해 주는 명령 해석기. 셸은 핵심부와 같이 주기억 장치에 상주하는 것이 아니고 보조 기억 장치에 교체될 수 있다.

핵심적인 순으로 안쪽에 위치하고 있다.

 

3.커널과 우분투

 

리눅스 커널과 비슷한 위치가 우분투 이다. 으로는 리눅스를 사용할 수 없고 리눅스 커널에 컴파일러, 쉘, 기타 응용 프로그램을 조합해서 만든 리눅스 배포판을 이용해야 한다.  리눅스 배포판의 종류는 수백 가지가 넘지만, 대표적인 배포판이 우분투이다.

 

배포판의 종류

  1. 우분투(Ubuntu)
  2. 페도라(Fedora)
  3. CentOS
  4. 리눅스 민트(linux mint)
  5. 젠투 리눅스(gentoo linux)
  6. 데비안(Debian)

 

 

 CLI VS GUI

참고로 

CLI(Command line interface)는 고전적인 키보드 기반 인터페이스로 cmd, 유닉스의 셸이 있다.

 

GUI(Graphical User Interface)는 마우스를 사용하는 그레픽 기반 인터페이스로 현대의 대부분의 os가 해당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