리눅스 기본적인 명령어 정리
cd .. : 최상위폴더로 이동
cd 폴더이름 : 해당 폴더로 이동
ls : 현제 폴더 안에 있는 폴더들 출력
ls -la : 현제 폴더 안에 있는
useradd
-d 홈디렉토리 : 홈디렉토리의 경로 지정. 홈 디렉토리를 생성하려면 -m같이 사용
-u uid : uid 지정
-g gid : gid 그룹 지정
-s shell : 쉘을 지정
-c 주석 : 계정에 주석달기
-D : useradd 의 기본 설정값을 확인. 긱본설정은 /etc/default/useradd 에 있음
계정 생성 : useradd -d /home/계정이름 -m 계정폴더
계정정보확인 : cat /etc/passwd | grep 계정명
/etc/passwd안에 계정정보 있음
나오는 정보는 id : 패스워드 : UID : GID : 주석 : 홈디랙토리 : 쉘
usermod : 계정의 설정을 변경할때 쓰이는 명령어
-u uid : 새로운 uid 지정
-g gid : 새로운 gid 그룹 지정
-G groups : 새로운 보조그룹을 지정
-d 홈디렉토리 : 새로운 홈디렉토리의 경로 지정. -m같이 사용하여 새로 생성도 가능
-s shell : 새로운 쉘을 지정
-c 주석 : 계정에 새로운 주석달기
-I(i대문자) : ID : 로그인 ID를 바꾸는 옵션, 새로운 계정명으로 변경
userdel : 계정을 삭제
-r : remove : 홈디렉토리도 삭제
-f : force : 삭제중에 나는 에러 무시하고 강제삭제
# userdel -f -r 삭제할 계정이름
만든 아이디에 비번 설정하기
# passwd 만든 아이디
(뭐라뭐라 나옴) : 비번 입력
(또 뭐라뭐라 나옴) : 비번 제입력
(뭐라뭐라 나오는데 successfully가 보이면 성공한거)
# : 서버 관리자가 접속했을때 끝기호
$ : 전체 관리자가 만든 아이디로 접속했을때 기호
mkdir 디렉토리명 : 디렉토리(폴더) 만들기
#mkdier dir1
rmdir 디렉토리명 : 디렉토리 삭제
리눅스에서 실행중인 프로세스 종료하는법
ps -ef | grep 프로세스이름
-pid를 얻어냄
kill -9 (pid) 로 강종
파일 실행
gcc(c언어 컴파일러)
#gcc -o (파일이름) (c언어파일이름)
#./(파일이름) : c언어 파일 실행
#rm 파일명 : 파일 삭제
ls -al 파일 속성
drwxr-xr-x 2 root root 4069 Apr 22 16:59 conory
d : 파일 Type : "d" -디렉토리, "I" -링크파일, "-" -일반파일
rwxr-xr-x : 퍼미션정보 : 해당 파일에 어떠한 퍼미션이 부여되어있는지 표시
2 : 링크수 : 해당 파일이 링크된 수, 링크는 우니도우의 "바로가기"와 같음. "in 대상파일 링크파일" 명렁으로 링크파일을 생성
root : 소유자 : 해당 파일의 소유자 이름
root : 소유그룹 : 해당 파일을 소유한 그룹이름, 특별한 변경이 없을 경우 소유자가 속한 그룹이 소유 그룹으로 지정됨
4096 : 용량 : 파일의 용량
Apr 22 16:59 : 생셩날짜 : 파일이 생성된 날짜
conory : 파일이름 : 파일이름
퍼미션 - 시스템에서 유지되는 권한기능
퍼미션 종류
r : 읽기, 파일의 읽기 권한
w : 쓰기, 파일의 쓰기권한
x : 실행, 파일의 실행권한
퍼미션의 사용자 지정
소유자 : 소유에 대한 퍼미션 지정
그룹 : 소유 그룹에대한 **
공개 : 모든사용자들에 대한 **
rwxr-xr-x
rwx, r-x, r-x (- 기호는 그 퍼미션이 없다는 기호)
소유자 그룹 공개
#chmod 변경될퍼미션값 편경할파일
퍼미션 값(r=4,w=2,x=1)
r-x면 4+0+1 = 5
rwxr-xr-x
7 5 5
#chmod -R 변경될퍼미션값 편경할디렉토리
하위 디렉토리와 파일들이 해당 퍼미션값으로 변경
소유자 변경
#chown 변경할소유자 변경할파일
#chown 변경할소유자.그룹이름 변경할파일명
파일 벡그라운드에서 실행
#./파일명 &
이러면 putty를 꺼도 파일이 계속 실행됨
****리눅스에서 실행중인 프로세스 종료하는법****
ps -ef | grep 프로세스이름
-pid를 얻어냄
kill -9 (pid) 로 강종
파일을 UTF-8로 저장해야 정상적으로 한글이 출력됨
#define PORT ( 포트번호) : 클라이언트와 접속할 포트번호를 정한다
서버컴퓨터에 접속하려면 아이피와 포트번호가필요
아이피 주소는 서버 컴퓨터를 구분하는 역할, 포트번호는 서버컴퓨터에서 제공하는 서비스에 접속하기 위혼 구분번호
포트번호는 1024 ~ 65536번까지 임의로 사용가능
#apt-get update; : 설치되어있는 페키지를 모두 새버전으로 업그레이드
#apt-get install mysql-server : mysql-server 패키지를 설치한다
#dpkg --list | grep mysql; : mysql설치버전 확인
#service mysql start; : mysql을 시작한다
#mysql -u root -p; : root로 mysql 접속, root 부분을 유저 명으로 바꿔서 접속