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네트워크 관리사 2급

네트워크 2급 필기 네트워크 일반

 

각 계층별 protocol들

TCP 전송 흐름제어 방법

1.XOFF/XON

-XOFF : 사용하는 버퍼가 가득 찼음, XON : 버퍼에 여유가 생겨서 데이터를 보내도 됨.

2. STOP AND WAIT

-데이터 전송을 하나하나 확인 받는 방식, 데이터 보내고 기다렸다가 OK사인이 떨어지면 보내는 방식

3.Sliding Window 

-수신측에서 설정한 윈도우 크기만큼 송신측에서 보낼때는 ACK없이 전송하여 흐름을 동적으로 관리할 수 있음

 

 

IEEE 802표준은 컴퓨터 통신망의 표준화를 추진하고 있는 IEEE 802위원회에 의해 개발된, 일련의 LAN접속 방법 및 프로토콜 표준들을 지칭한다. 각 표준마다 IEEE 802.1 등의 번호가 붙는다.

 

IEEE 802.11은 흔히 무선랜, 와이파이(Wi-Fi)라고 부르는 무선 근거리 통신망(LAN) 또는 무선 네트워크에 사용되는 표준 규격으로, IEEE의 LAN/MAN 표준 위원회 (IEEE 802)의 11번째 워킹 그룹에서 개발된 표준 기술을 의미한다.

IEEE 802.2는 LLC로 데이터 링크 계층의 부계층으로 불리며 Logical Link Control을 말한다.

 

IEEE 802.15는 WPAN

 

IEEE 802.3은 유선인터넷인 CSMA/CD를 의미

-LAN의 매체 접그 제어방식 중 버스구조에서 사용하고, 데이터를 전송하려면 체널이 사용 중인지 검사하고, 채널이 사용 중이지 않으면 모든 노드가 채널을 사용할 수 있으며, 동시에 데이터 전송이 이루어지면 충돌이 일어나고 데이터는 폐기되며 일정시간 대기 후 다시 전송한다.

 

 

https://velog.io/@dongvelop/ARQAutomatic-Repeat-Request%EB%9E%80

 

ARQ(Automatic Repeat Request)란?

ARQ의 방식에 대해 정의와 동작 방식을 설명합니다.

velog.io

ARQ는 Automatic Repeat Request의 약자로, 자동 재전송을 의미한다.

stop and wait : 수신측으로부터 ack를 받을때까지 대기하는방식

-송신측은 프레임을 보내고 기다림과 동시에 타ㅣ머를 작동시킨다. 수신측에서 이상이 없으면 ack,있으면 nak(nagative acknowledge)를 보낸다

go-back-n : 오류난 지점부터 다시 전송하는 방식

selective-repeat : 한번에 여러 프레임을 보내고 나중에 ack를 받는 방식, 에러가 발생할 경우 해당 프레임만 재전송

복잡한 논리회로와 큰 버퍼를 요구

adaptive : 전송효율을 최대로 하기 위헤 데이터 블록의 길이를 체널의 상태에 따라 그떄그때 동적으로 변화

 

nslookup

호스트의 이름을 입력해서 ip주소를 알아내거나, ip주소를 사용해서 호스트 이름을 찾을때 사용하는 명령어

 

tracert(리눅스에서는 traceroute)

접속하려는 호스트까지의 경로를 추적할 수 있는 명령어로 목적지의 경로에 있는 라우터를 지날때마다

특정한 메시지를 보내고, 이에 대한 응답을 확인함으로써 라우터의 존재 및 지연시간을 검사합니다.

 

ping

ping은 목적지와의 정상적인 통신 가능 여부를 테스트하기 위한 명령어 입니다.

TTL은 카운트 될 수 있는 독립적인 장치 하나하나를 거칠 떄 마다 값이 감소하게 되어 0이 되면 해당 데이터를 삭제

 

pathping

ping과 tracert를 합친 기능으로

페킷이 목적지로 보내질 때, 중간 경로의 라우터에서 리턴 되는 패킷의 결과를 계산해서 출력

출력결과에는 패킷 손실율과 중간 라우터까지의 도착시간이 포함.

SSL

SSL(secure sockets layer) 웹브라우저(클라이언트)와 웹서버(서버)간에 데이터를 안전하게 주고받기 위해 사용하는 표준 프로토콜입니다.

ssl은 웹뿐만 아니라 ftp등 다른 tcp/ip어플리케이션에도 적용할 수 있으며, 인증 암호화 기능이 있습니다.

ssl이 적용되면 http가 https로 변경됩니다. 사용포트는(tcp/443번)

 

 

VPN

기업에서 별도의 사설 전용망을 구축하지 않고도, 기존의 ISP의 네트워크 기능을 사용해 마치 자신의 사설망을 구축한 것처럼 사용할 수 있는 가상 사설망 서비스

별도의 독립적인 기업 네트워크를 구축할 필요가 없으며, 국내뿐만 아니라 외국에 있는 지점이라도 인터넷을 접속할 수 있는 방안만 강구되면 국내외에 있는 지사 및 협력사에 각종 정보를 제공할 수 있습니다.

 

VPN터널링의 종류

센서 네트워크

유비쿼터스 컴퓨팅을 구현하고자 할 때 수많은 센서들을 이용해 유선, 또는 무선의 네트워크를 센서네트워크라고 합니다.

기본적으로 센서노드와 싱크노드로 구성됩니다.

싱크노드는 센싱 데이터를 수집하는데 사용됩니다.

 

스마트 그리드

스마트그리드는 기존 전력망에 it기술을 활용해 전력 생산 및 소비를 파악하여 효율적으로 전력공급을 할 수 있는기술을 말합니다.

-AMI(advanced metering infra) : 스마트미터ㅔㅇ서 측정한 데이터를 원격 검침기를 통해 측정하여 전력 사용분석을 자동으로 진행하는 기술

-DR(demand response) : 고객이 절약한 전기를 수요관리사업자를 통해 전력시장에 판다.

-EMS(energy management system) : 에너지 소비자가 과학적으로 에너지를 관리, 절약할 수 있도록 건물,공장의 위치,요소별 에너지 소비측정, 흐름 제어를 통해 에너지 사용을 최적화하는 에너지 관리 통합 모델

 

NAS(Network-Attached Storage)

ip주소를 갖고 있는 하드디스크, 네트워크에 있는 저장장치이기 때문에 다양한 장치에서 접근이 가능하고 빠르고 쉽게 원하는 데이터에 접근할 수 있음. 서로 다른 네트워크 클라이언트에 데이터 접근 권한을 제공합니다.

 

NFV(Network Function Virtualization)

네트워킹에 필요한 모든 유형의 자원을 추상화하고, 소프트웨어 기반이며 자동으로 관리와 제어가 가능케 하는 가상화 기술을 의미한다. 통신 사업자들은 이러한 기술을 도입하면서 점점 복잡해지는 네트워크의 관리 용의성, 관리비용 절감, 네트워크 민첩성 등의 장점과 효율성을 얻고자 한다.

 

WPA2(IEEE802.11i)

무선 lan보안을 위해 가장 강력한 방법

 

Multiplexing(다중화)

반송파 상에 다중 신호나 정보 스트림을 단일 복잡신호의 형태로 동시에 보내고, 수신 측에서 별개의 신호들로 복원하는 방식입니다. 즉, 하나의 회선을 여러 사용자들이 동시에 채널을 나누어 사용하고 수신측에서는 별개의 하나 하나의 신호로 수신한다는 의미

한마디로 송신측에서 여러개의 터미널이 하나의 통신 회선을 통하여 신호를 전송하고, 전송된 신호를 수신측에서 다시 여러개의 신호로 분리한다는 뜻

씨발 그냥 TDMA, CDMA, FDMA였잖아

 

 

UTP(unshielded twist pair) : 별도의 쉴드처리없이 꼬여있는 케이블

FTP(foil screened twist pair) : 내부 케이블은 은박이 감싸고 있는 케이블, 단 쉴드처리가 되어 있지는 않음.

STP(shielded twist pair) : 쉴드 처리가 되어있는 케이블

 

NIC(network interface card) : 랜카드, 컴퓨터의 확장 슬롯에 장착하여 유선 네트워크와 인터넷을 가능하도록 연결해주는 역할을 수행

IPS(intrusion prevention system) : 방화벽과 함께 네트워크 최상단에서 보안을 책임지는 침입방지시스템

NAC(network access control) :네트워크 접근제어 보안 프로그렘, 엔드포트(네트워크에 접속하는 모든 유,무선 단말)이 네트워크에 접근하기 전 보안정책 준수여부를 검사하고 ip및 mac address의 인가여부를 검사하며 네트워크 자원의 이용을 허용하는 방식을말합니다.

 

 

BUS Topology

 

시스템을 연결하는 케이블이 버그수조를 이루며 간단하고 신뢰성이 좋으나 거리 제한이 있습니다.

-메시지 전달속도가 빠름

-스테이션의 추가가 쉬움

-스테이션의 고장이 전체 네트워크에 영향을 미치지 않음

-터미네이터를 두어 시그널의 반사를 방지(버그의 종점역할)

 

페킷 교환망

데이터 통신에 적합한 방식

-메시지를 일정한 크기의 패킷으로 분할하여 목적지 주소를추가하여 전송하고 복원하는 방식

-회선교환과 메시지 교환방식으로 나누어 전송

-회선 이용률이 높고 속도변환과 프로토콜변환이 가능

-패킷 단위로 전송이 이루어지며, 송 수신측 주소와 같은 라우팅 정보를 포함

-장애 발생시 패킷의 우회전송이 가능, 전송오류검사를 실시하여 재전송

-다중화를 사용하므로 전송로 사용효율이 좋다.(복수의 상대방과도 통신이 가능)

-전송속도나 제어절차가 틀리더라도 교환망이 변환처리를 제공

-연결형인 가상회선 방식과 비 연결형인 데이터그렘 방식이 있음

-블록킹 현상은 없음

-망에 유입되는 데이터의 양이 많아지면, 전송속도가 느려짊

-패킷마다 주소를 위한 오버헤드가 존재

 

 

0세대 이동통신

-음성 통화만 가능

-아날로그 통신

1세대 이동통신 

-음성통화만 가능

-아날로그 통신

2세대 이동통신

-디지털 방식 이동통신 시스템(CDMA2000)

3세대 이동통신

-음성데이터와 비음성 데이터를 모드 전송 가능함.

-2MBIT/S의 정보전송 속도를 제공

4세대 이동통신

-고속환경으로 변화 : 초광대역(100Mbit/s)

-인터넷 접속, ip전화, 게임 서비스 및 스트리밍 멀티미디어를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기능을 가진 포괄적이고 안정된 시스템

5세대 이동통신

-26,28,38,60GHz등에서 작동하는 밀리터리파 주파수를 이용

-대표적인 기술로 빔 포밍이 있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