리피터(Repeater) - 물리계층에 해당하는 장비
디지털 방식의 통신선로에 신호를 전송할 떄, 전송하는 거리가 멀어지면 신호가 감쇠하는 성질이 있습니다.
이때 감쇠된 전송신호를 새롭게 재생하여 전달하는 장치를 리피터라고 합니다.
리피터는 물리계층에서 동작하며, 종류는 비트 리피터와 축적형 리피터가 있습니다.
로드 벨런싱
말 그대로 통로의 밸런스를 맞춰 준다는 의미, 스위치를 이용할 경우 특정 루트에 과부화가 발생하지 않도록 여러 루트로 분산하여 사용량, 처리량 및 지연율을 조정하여 부하를 분산시키는 역할을 하는 기술
스위치는 보통 L2, L3, L4스위치 등으로 구분하여 사용합니다.
L2스위치는 보통 알고 있는 스위치이며 MAC주소를 읽어 스위칭하는 방식을 사용합니다.
L3스위치는 IP나 IPX 주소를 읽어서 스위칭을 하며, 3계층에서 동작한다고 하여 L3 스위치라고 부릅니다. 대표적인 장점으로는 브로트캐스트 트래픽으로 인한 성능저하를 막을 수 있습니다.
L4스위치는 여러대의 서버를 한대처럼 묶을 수 있는 분하분산 기능을 제공합니다.
라우팅 프로토콜의 분류
거리방향 알고리즘 - 벨만포드 알고리즘에 기초 - RIP, IGRP,BGP 등
링크상태 알고리즘 - 다익스트라 알고리즘에 기초 - OSFP,NLSP,IGP 등
특정한 장소까지 가장 짧은 거리를 구하는 알고리즘
-벨만포드 알고리즘 : 가중치중에 음수를 사용해 최단경로를 구함
-다익스트라 알고리즘 : 출발지점과 도착지점으로 최단경로를 구함
OSFP
open shortest path file의 약어, ip라우팅 프로토콜의 한 종류
RIP보다 규모가 큰 네트워크에서도 사용할 수 있습니다.
규모가 크고 목잡한 TCP/IP네트워크에서 RIP의 단점을 개선한 라우팅 프로토콜, RIP에 비해 자세한 제어가 가능ㅇ하고, 관리정보의 트래픽수 줄일 수 있습니다,
-라우터의 수인 홉과 회선의 상태에 따라 경로를 설정하는 방식으로, 사용자에 의한 경로지정, 복수 경로 설정 등이 가능.
-환경변화에 관한 정보전달이 신속하며, 전체 네트워크상의 라우터에서 동일한 라우팅 정보를 유지하며, 동일한 비용을 가진 모든 경로에 트래픽을 분산 전송할 수 있음.
-하나의 AS를 여러 개의 작은 Area로 나누어 계층적 라우팅을 수행
-LINK STATE 방식을 사용하며, RIP에 비해 홉수에 제한이 없고 Convergence시간이 빠름.
-라우팅 정보를 주기적이 아닌 변화가 있을 때에만 갱신함으로써 대역을 효과적으로 사용함.
-물리적인 토폴로지에 따라 네트워크 타입을 규정
Gateway
-application layer(응용계층)에 위치하고 있는 이 장비는 프로토콜 번역기라고 불리며 서로 다른 통신 프로토콜을 연결하는데 이용됩니다,
-네트워크에서 다른 네트워크로 들어가는 입구 역할을 하는 장치이며, LAN과 같은은 하나의 네트워크를 다른 네트워크와 연결할 때 사용합니다(LAN을 다른 종류의 네트워크와 연결)
-반대로 같은 LAN과 LAN을 연결하는 것은 브리지
VPN(vertual private network)
1.공중 또는 공용 ip인프라 내에 구축된 사설망.
인트라넷 외부에서 가상의 선로를 만들어 인트라넷에 접속하는 것을 의미하며, 인트라넷을 외부에 개방하지 않고도 필요한 사용자에게 인트라넷에 접근할 수 있도록 허용하는 것,
2.기업에서 별도로 사설 전용망을 구축하지 않고도 기존의 isp의 네트워크 기능을 사용해 마치 자신의 사설망을 구축한 것처럼 사용할 수 있는 가상 사설망 서비스
LAN 카드의 MAC adress는 48비트 번호체계이다.
VLAN(virtual local area network)
물리적 포트를 논리적으로 lan을 구성할 수 있는 기술
vlan은 물리적인 네트워크 구성에 제한을 받지 않고 네트워크 구성요소가 삭제나 변경이 발생하였을때 논리네트워크를 구성함으로써 유연하게 대응 할 수 있는 lan기능
RAID 1 : 미러링
'네트워크 관리사 2급' 카테고리의 다른 글
네트워크관리사 2급 실기 윈도우 서버 (0) | 2024.08.12 |
---|---|
네트워크 관리사 2급 실기 - 라우터 (0) | 2024.08.06 |
네트워크2급 필기(NOS) (0) | 2024.07.07 |
네트워크 2급 필기 네트워크 일반 (0) | 2024.06.23 |
네트워크 2급 필기 TCP / IP (0) | 2024.06.2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