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전체 글

(55)
django background 동작시키기(bg, nohup) - 백그라운드 중지 : ps -ef | grep manage.py : kill PID번호 보통 django를 python manage.py runserver ip:port 로 실행시키면 터미널을 종료시켯을때 프로세스도 종료된다. 터미널을 종료시켰을떄도 프로세스를 실행시키는 방법을 알아보았다. 1.bg명령어 1.python manage.py runserver 을 실행해준 후 컨트롤 + z 로 종료 시킨다, [1]+ Stopped python manage.py runserver 그럼 위랑 비슷한 로그가 뜬다. 2.bg bg 입력 [1]+ python manage.py runserver 210.114.22.121:5100 & 아까 스톱시킨 명령이 벡그라운드로 들어간다. 이러면 벡그라운드에서 실행이 되고 있다...
django 설치및 사용법 1. django 설치 pip install django 2.프로젝트 만들기 django-admin startproject start_django start_django라는 폴더 안에 manage.py와 start_django폴더가 생성된다. 3.프로젝트 실행 해당 폴더 안에서 python manage.py runserver 하고 127.0.0.1 : 8000 들어가면 된다. 4.app만들기 python manage.py startapp app1 프로젝트 폴더 안에 app1 이라는 디렉토리가 생성된다. start_django/start_django 폴더 안에 urls.py 를 연다. 위의 주석들은 무시하고 url, include를 임프트 한다. from django.conf.urls import url,..
js로 데이터 전송하기 로그인을 구현 하려다가 로그인 페이지에서 보낸 데이터를 서브 로그인 페이지에서 처리한 후 자동적으로 다른 페이지로 이동하려고 하였다 구글링을 해보니 php로는 구현을 할 수가 없고 js로 form을 구현할 수 있다고 한다. 오브젝트를 구성요소를 포함하여 만든다. action: 이동할 페이지 URL method: get/post 여기서는 POST를 지정한다. target: 현재창에서 할지 새창으로 열지 등등... 전달할 인수들을 포함시켜 준다. 위에서 만든 폼을 submit() 하여 실행한다. function pageGoPost(d){ var insdoc = ""; for (var i = 0; i < d.vals.length; i++) { insdoc+= ""; } //매계변수 받은전달값 정리 var go..
django와 flask의 차이 flask를 공부하려고 구글링을 하던 도중 django라는 프레임 워크를 알게 되었다. django와 flask는 둘다 웹프레임워크 인데 도대체 왜 두개로 구분짓는지 궁굼하여 구글링을 해보았다. 1.프로젝트 레이아웃 Flask는 프로젝트마다 1개의 어플리케이션을 개발하도록 되어 있지만, Django는 한 프로젝트 내에 다양한 어플리케이션이 존재 할 수 있습니다. 같은 프로젝트 안에서 여러 어플리케이션이 동시에 사용하는 재사용 가능한 코드를 작성하기도 쉽고, 개별 프로젝트 관리도 편하게 됩니다. 2.제공되는 기능 Flask는 약 27,000줄 밖에 안되는 가벼운 프레임워크이기 때문에, 개발자가 거의 모든 것을 설정하고 세팅해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습니다. 반면, Django는 이의 10배나 무거운 프레임워크..
css 버튼 관련 코드 버튼 배경색 background-color:#0a0a23; 버튼 글자색 color: #fff; 버튼 태두리 border:none; // 태두리 없음 border-radius:10px; // 태두리 둥글게 버튼 네온 효과 box-shadow: 10px 5px 5px red; // 버튼으로 부터 x좌표 10px, y좌료 5px 떨어진 곳에 네온 범위 5px인 red색상의 사각형 생성 box-shadow: 60px -16px teal; // 위 코드와 동일하지만 네온이 없다. box-shadow: 12px 12px 2px 1px rgba(0, 0, 255, .2); // 1번재 줄과 동일하지만 4번째 argument는 네온박스의 추가적인 크기를 나타낸다 box-shadow: inset 5em 1em gold;..
css 글자 관련 코드 color 글자의 색상을 정한다. white, red 같은 영문 색상이나 #fffffff 같은 컬러코드 모두 받는다 background-color background-color로 배경의 색을 정합니다. 그 색으로 border와 padding을 포함한 영역을 칠합니다. margin 영역은 칠하지 않습니다. transparent : 배경색이 없습니다. color : 색을 정합니다. initial : 기본값으로 설정합니다. inherit : 부모 요소의 속성값을 상속받습니다. font-size 글자의 크기르를 지정합니다. medium : 웹브라우저에서 정한 기본 글자크기입니다. xx-small, x-small, small, large, x-large, xx-large : medium에 대한 상대적인 크기입니다..
html form 에서 여러개의 submit 구현하기 1.NAME & VALUE value에 지정되어 있는 값을 가져다 쓸 수도 있습니다. cs 단순히 이렇게 처리하는 것만으로 의 action url에 파라미터로 [[name값]]=[[value값]] 이 함께 날아갑니다. update 버튼을 누르면 파라미터로 action=update가 추가로 더해지는 것입니다. 서버 쪽에서 action 파라미터를 받아 분기처리 하는 것이죠. 2.FORMACTION 속성 사용 formaction 속성을 사용하면 태그의 action 속성은 선언하지 않아도 됩니다. 단지 여러개의 submit 버튼에 formaction 속성을 설정해 url을 넣어주는 것만으로도 각각의 주소로 요청을 보냅니다. get, post 방식 모두에서 잘 작동합니다. 다만 HTML5 에서 새로 생긴 속성이라..
flask 기본적인 문법과 사용법2(static, render_template에서 변수 사용, 쿠키) 1.static 파일 flask에서 css나 js같은 파일들을 참조할 수 있다. render_template를 사용할때 templates 폴더 안에 저장한 것 처럼 css, js같은 정적 파일들은 static 폴더 안에 저장해야 한다 voca.html 위처럼 정적파일을 참조할때는 {{ url_for('static', filename = '파일명') }} 으로 참조한다. 2.render_template 에서 변수 사용하기 render_template("html파일", 변수1, 변수2) 처럼 작성하고 {{변수1}}로 render_template 당한 html 파일 안에서 flask의 변수를 참조할 수도 있다. 3.쿠키 쿠키란 서버에서 해당 클라이언트에 저장해 놓는 변수들이다. f12 - Application..